안녕하세요~. 오늘은 [교육건축] 네이버 카페에 올린 글을 재구성해서 올려볼까 합니다. 저희 회사가 어떤 모토로 움직이고 있는지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일단, 링크는 아래에 걸어 두겠습니다.
https://cafe.naver.com/hanokmokssu/232
건축주가 주체가 되는 집짓기를 위해
현재 단독주택 시장은 건축주가 주체가 되어 집을 짓기가 매우 힘든 구조입니다. 왜냐하면 건축주가 시공사와 계약을 하면 시공사는 다시 각 도급업자와 계약을 합니다. 이러니 건축...
cafe.naver.com
위 링크에도 나와있지만, 한국의 단독주택 시장은 건축주가 주체로 집 짓기가 매우 힘든 구조입니다. 건축주와 시공업자 간의 계약과 시공사와 도급업자 간의 계약의 이해가 상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선반이나 수도꼭지의 위치, 개수를 바꿔보고 싶어도, 전부 각 계약의 비용으로만 환산되기 때문에, 더 살기 좋고 마음에 드는 집과는 멀어지는 거 같습니다. 사소해 보이는 것에도 다 비용이 드는 거니 다들 예민해지기 마련이지만, 이래선 가장 중요한 목적에 멀어지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경주전원주택시공 건축주가 주체 사진 1
저희 [교육건축]은 이렇게 생각합니다. 건축주가 건축회사가 아니라, 설계부터 완공까지 종합 안내-관리할 수 있는 건축 전문가를 고용하면 어떨까? 설계부터 완공까지 종합 관리하는 단독주택 시공-컨설팅 전문가 그룹이 있는 회사를 만들면 좋겠다!
경주전원주택시공 건축주가 주체 사진 2
물론 회사는 이윤을 추구하기 마련입니다. 최대한 생산 비용을 줄이는 공정과 판매, 서비스 등을 고민하고 받을 수 있는 가장 높은 가격을 찾으려 노력하는 집단이죠. 그런 맥락으로 소비자와 너무 세세한 피드백이 오가는 것은 기피되기 마련입니다. 가장 눈에 띄지 않고 수치화하기 힘든 이윤 요소이기 때문이죠.
경주전원주택시공 건축주가 주체 사진 3
당연히 모든 시장에 이런 원칙을 적용하는 건 적절하지 않습니다. 특히, 전원주택 시장은 언제나 비슷한 완제품을 제공하는 사업과는 거리가 있죠. 언제나 다른 취향과 목적의 고객을 상대하기에, 언제나 새로운데도 안전하고 기능적인 집을 만들어가야 합니다.
경주전원주택시공 건축주가 주체 사진 4
고로, 좋은 집을 지으려면 건축주의 적극적인 참여가 가장 중요합니다. 그런 참여와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시공사가 좋은 집을 만들 수 있는 법이고요. 저희 [교육건축]은 이런 측면의 노력에 가장 힘쓰고 있습니다. 언제나 건축주와 어떻게 좋은 집을 설계할지 논의하고, 현장에서 실질적인 피드백을 받고 있습니다.
경주전원주택시공 건축주가 주체 사진 5
오늘은 측량 과정 위주로 초점을 맞춰보겠습니다. 저희 [교육건축]은 측량 단계에서부터 건축주와 함께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측량 단계에서 많은 변수들을 발견하고 계획을 수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죠.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https://cafe.naver.com/jinacnp1424/2898
밀양전원주택시공--건축주님에게 꿀 팁: 집을 짓기 전에 1
안녕하세요~ ^^. 오늘은 평소랑 많이 다른 느낌의 제목입니다. 최근에 글을 쓰면서, 좀 더 건축주님에게 필요한 정보를 집약적으로 전달하는 게시물이 필요할 거란 생각이 들었기...
cafe.naver.com
경주전원주택시공 건축주가 주체 사진 6
말씀드리고 싶은 건, 측량 단계에서부터 건축주님의 참여가 중요하다는 겁니다. 측량을 진행할 때 반드시 참관하셔서 땅의 구조를 파악하고 건물 배치 등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그렇게 건축주가 주체인 집 짓기를 시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각자의 참여가 이루어지면, 측량 단계에서 건축주, 시공사, 설계사무소가 함께 말뚝의 위치, 도면을 확인하고 집의 위치 등을 협의할 수 있게 됩니다. 법적인 내용과 시공의 대략적인 과정을 건축주에게 설명하여, 건축주님이 직접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저희 [교육건축]은 이런 참여와 소통 부분을 가장 잘 하는 회사라는 걸 자부하고 있습니다.
경주전원주택시공 건축주가 주체 사진 7
경주전원주택시공 건축주가 주체 사진 8
경주전원주택시공 건축주가 주체 사진 9
이런 소통으로 건축주님과 좋은 인연을 만들고 있습니다. 현장에 방문하셔서 세세한 요구 사항을 문의하시고, 진행 상항을 확인하는 거죠. 겸사겸사 일꾼들의 새참 거리도 챙겨주시고요. ^^ 정말 감사한 일입니다. 일꾼들도 이럴 때 가장 동기 부여가 되기 마련입니다.
경주전원주택시공 건축주가 주체 사진 10
경주전원주택시공 건축주가 주체 사진 11
끝으로 건축주님이 꼼꼼히 참여하여 저희의 시공에 만족한 사례를 보여드리며 마무리하겠습니다. 집을 짓는 큰일에 결정하고 고민해야 하는 부분은 정~말 많습니다. 건축주가 주체가 될 수 있는 집 짓기가 실현되어야 이런 사항들을 제대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안전하고 좋은 집을 완성할 수 있다는 점과 저희 [교육건축]이 이런 고민에 전적으로 함께하고 있다는 걸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교육건축은 신뢰의 건축입니다
'건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동전원주택시공 소소한 마무리 (0) | 2022.07.30 |
---|---|
청도전원주택시공--이웃 돕기 프로젝트 1 (0) | 2021.05.29 |
대구전원주택시공--AS와 서비스 (0) | 2021.05.20 |
포항전원주택시공--<뉴질랜드>현장 8 (0) | 2021.05.16 |
경남전원주택시공--<뉴질랜드>현장 7 (0) | 2021.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