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시간에 이어서 바로 다음 확인사항을 짚어보겠습니다.
네 번째 확인사항: 우오수
거제전원주택시공 답사 확인사항 사진 1
거제전원주택시공 답사 확인사항 사진 2
우오수를 처리 가능한지도 살펴보셔야 합니다. 시오수처러장이 있는지. 아니라면 주변에 2번 사진 우측과 같이 정화조가 있어, 오수를 처리할 수 있는 구거가 있는지 확인해 주셔야 합니다.
우오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라 생각합니다. 우스갯소리로 건축주님들에게 집도 먹고 싼다고 말씀드리는 이유입니다. 집도 전기나 물 같은 것을 받아들이고 나가는 소화 시스템이 갖춰져야만 제 역할을 하는 법이니까요. 이런 시스템을 갖출 수 없다면 아예 건축 허가가 안 나는 이유와도 상통하네요. 고로, 땅을 소개한 사람이나 설계사무소 등에 우오수는 어떻게 적법하게 처리할 수 있는지 질문해보셔야 합니다.
다섯 번째 확인사항: 전기
거제전원주택시공 답사 확인사항 사진 3
당연히 주변에 전기를 끌어올 수 있는 전봇대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 가끔 기존에 부지 안에 전봇대가 떡하니 버티고 서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당연히 이설을 해야 하고(사진 4) 이에 따른 비용도 생각하셔야 합니다.
거제전원주택시공 답사 확인사항 사진 4
전봇대와 현장의 거리에 따라서 때론 전봇대를 신설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때론 사진처럼 전봇대의 이설이 필요한 경우도 있고요.
신설과 이설을 통해 전기를 끌어올 수 있으면 좋은 일이지만, 가장 골치 아픈 경우는 따로 있죠. 전봇대가 새로 놓일 곳이 다른 이의 사유지인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 해당 땅의 소유주에게 허가를 반드시 얻어야 합니다. 허가를 끝끝내 얻을 수 없다면 집을 지을 수 없으니까요.
여섯 번째 확인사항: 부지
거제전원주택시공 답사 확인사항 사진 5
거제전원주택시공 답사 확인사항 사진 6
부지의 생김새도 중요합니다. 물론 부지가 안정적인 사각형이면 집을 짓기에 편하지만, 일반적인 전원주택지론 드문 경우입니다. 부지의 테두리가 구불거린다면 석축, 옹벽, 담을 쌓기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들겠죠. 집의 배치를 고민하기도 힘들 겁니다. (사진 5, 6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거제전원주택시공 답사 확인사항 사진 7
부지의 상태도 눈여겨보셔야 합니다. 땅의 흙이 얼마나 질고 비가 오면 배수가 어떤지(사진 7), 땅 꺼짐은 없는지, 땅속에 어느 정도 크기의 돌이 얼마나 있는지, 경사가 어떤 당인지, 인접 부지와 관계는 어떠한지, 주변 땅과의 높낮이는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등을 확인하시면 좋습니다.
거제전원주택시공 답사 확인사항 사진 8
거제전원주택시공 답사 확인사항 사진 9
주변 땅과의 높낮이 관련 사례 하나 보고 가시겠습니다. 보시면 집이 들어오는 부지에 비해 뒤편(붉은색)은 상당히 높습니다.
이러면 집터가 낮기 때문에 집의 높이를 높여야 합니다. 또한 기존에 임시로 마을 주민분들이 설치한 석축을 그대로 둘 수 없기 때문에 석축을 새로 쌓아야 합니다. 그 과정에서 구 석축을 해체한 자리에 골이 생겨서 배수도 신경을 써줘야 합니다.(사진 9)
거제전원주택시공 답사 확인사항 사진 10
거제전원주택시공 답사 확인사항 사진 11
몇 가지 꿀 팁들을 드리자면, 큰돌이 많고 넓은 부지를 구매하시면 토목을 할 때 득을 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석축을 쌓을 때 그 돌들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죠.(사진 10, 11) 또 구매 전에, 마음에 드는 땅이 있으시면 비가 오는 날에 일부러 방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연스레 물 빠짐을 확인할 수 있으니까요.
기타 확인사항
마지막으로 기타 확인사항들입니다.
거제전원주택시공 답사 확인사항 사진 12
부지에 기존에 나무가 심어져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집을 지으려면 나무를 다 잘라내셔야 하는데, 땅 구매 전에 전 주인에게 나무 처분 계획을 물어보고 협상하셔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나무를 처리하는 비용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겠죠.
거제전원주택시공 답사 확인사항 사진 13
부지에서 얼마나 폐기물이 나올지도 생각하셔야겠죠. 특히 기존 건물을 철거해야 한다면 더 그렇습니다.
구입하시는 땅의 필지가 나누어져 있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기존에 있던 전기선들의 소재를 전부 물어보셔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정말 간혹 부지 내에 구거가 있는 경우도 있으니 꼭 확인하시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외에도 확인해볼 사항은 정말 많은 것 같습니다. 전원주택을 구입하실 때, 이번에 설명한 체크리스트들을 꼭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전문가가 아닌 이상 모든 변수들과 확인사항을 올바르게 고려하기란 불가능에 가까운 법입니다. 결국 땅을 구입하기 전에 전문가들의 도움과 조언을 들을 수 있다면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하나는 담당 행정부서에 직접 문의해서 정확한 답변을 듣는 것을 추천합니다. 누구보다 법적인 내용을 잘 아는 이들에게 물어보는 게 효율이 좋은 법입니다. 대표적으로 건축과가 있겠죠.
두 번째로는 설계사무소를 찾아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들은 집을 짓는 전문가들이며 어떤 터가 집을 짓기 좋은지부터 시작해, 어떠한 변수나 비용이 발생할 수 있는지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저희 [교육건축]도 남들 못지않은 전원주택 시공의 전문가라 자부할 수 있습니다. 항상 더 실질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집약, 정리하고 있습니다.
사진 8, 9처럼 저희 [교육건축]은 설령 이미 집을 짓기 난해한 땅을 구매하신 경우라도 최대한 방법을 찾아서 노련하게 변수들을 해결할 방안을 건축주님에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이만 마치겠습니다.
[교육건축]은 신뢰의 건축입니다.
'건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항전원주택시공--기초에 대하여 2 (0) | 2021.03.22 |
---|---|
경남전원주택시공--기초에 대하여 1 (0) | 2021.03.21 |
거제전원주택시공--건축주님에게 꿀 팁: 답사 확인사항 1 (0) | 2021.03.13 |
진주전원주택시공--일하는 사람들 (0) | 2021.03.08 |
밀양전원주택시공--관리자의 중요성 (0) | 2021.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