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이야기

포항전원주택시공--측량에 대하여

by tirielgap 2021. 1. 23.

  안녕하세요~ ^^. 오늘은 답사와 빼먹을 수 없는 측량 작업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포항전원주택시공 측량 사진 1

 

포항전원주택시공 측량 사진 2

 

  측량은 집이 들어올 정확한 위치와 경계를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상담과 답사를 통해 설계를 마무리하면 바로 측량 신청을 하고 진행해야 합니다. 현장에서 건축주님 참관 하에 측량 확인하고 건축 계획을 세우기 위해 필요한 작업이죠.

 

  측량원이 말뚝의 위치를 알려주면 저희 [교육건축] 측에서 말뚝을 박으며 진행합니다. 특히 시공 담당자가 말뚝의 위치를 확인하는 게 정말로 중요합니다. 경계 이탈 방지, 토목 공사 여부와 위치 확인 등 공사 관리 계획의 기본과 변수를 확인하는 작업이니까요. 담당자가 당연히 매의 눈이 되는 이유입니다. 위 사진에도 나오듯이, 정말 생각도 못 한 곳에 말뚝이 박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ㅠㅠ

 

 

포항전원주택시공 측량 사진 3

 

  말뚝은 보통 이런 형식으로 박힙니다. 사각형인 땅의 꼭짓점에 눈에 띄는 표시를 해두는 겁니다.

 

 

포항전원주택시공 측량 사진 4

 

  사진처럼 땅이 여의치 않아 작은 말뚝이 박히지 않을 땐 쇠말뚝을 활용합니다. 아예 말뚝을 박을 수 없는 환경이면 임의로 새로운 기준점을 세워 원래 기준점과의 좌표 차이를 확인하여 기록합니다.

 

 

포항전원주택시공 측량 사진 5

 

  말뚝이 기존에 생각했던 경계와 일치하는 경우는 정말 드문 거 같습니다. 생활 속에서 자연스레 만들어진 경계들이 법적인 땅 소유권 경계와 맞지 않는 경우들이죠.

 

  위 사진의 경우, 이웃집 담장 옆에 말뚝이 박혔습니다. 혹여 집을 지을 때 말뚝의 경계를 넘어서지 않게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로 길이, 방향을 확인하여 기록합니다.

 

 

포항전원주택시공 측량 사진 6

 

  경계 주변의 환경도 확인해야 합니다. 위 사진의 경우, 경계의 밖인 오른쪽이 안쪽보다 1미터 정도 높은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면 물이 들어올 확률도 높고 안쪽이 주변의 땅들보다 낮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기초를 높이거나 성토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포항전원주택시공 측량 사진 7

 

  위 사진 같은 경우엔 생각보다 토지가 넓게 잡혀버린 경우입니다. 저 여남은 토지를 그대로 둘 수는 없기에 추가로 석축을 쌓고 흙을 채울 필요가 있습니다.

 

 

포항전원주택시공 측량 사진 8

 

  이런 경우도 많습니다. 이웃집이 건축주님의 땅을 목 1m 이상 길이론 20m 정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들은 이웃집 주민과 직접 협의하여 타협해야만 합니다.

 

 

포항전원주택시공 측량 사진 9

 

  말뚝이 담장 너머로 박힙니다. 마찬가지로 이웃집이 건축주님의 땅을 침범한 경우죠. 이런 경우들은 그 정도가 지나치지 않다면 땅을 무작정 내놓으라 할 수 없는 게 보통입니다.

 

 

포항전원주택시공 측량 사진 10

 

  때론 말뚝이 기존 담장 너머 도로에 박힐 수도 있습니다. 담장을 헐고 새 담장을 더 넓게 시공할 수 있다는 거죠!

 

 반대로 말뚝이 담장 안쪽에 박혔다면 건축주님이 벽을 허물길 원해도, 마을 이장님과 상의해야 합니다. 그럼 도로 부분의 포장과 마감을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포항전원주택시공 측량 사진 11

 

  정말 난감하죠. 이번엔 말뚝이 기존 집의 안쪽으로 박혔습니다. 이 경우엔, 이웃 주민과 의논하여 철거 후 집을 지을 때 측량선을 지키기로 하고, 나머지 부분은 이웃 주민이 찾아가시기로 했습니다. 이 말뚝을 잘 살려 혹여 시공할 때 실수가 없게 유의해야겠습니다.

 

 

포항전원주택시공 측량 사진 12

 

  보셨듯이 측량은 특히 이웃 주민분들과 자칫 서로 민감해질 수 있는 부분이 많습니다. 이웃 주민들과의 소통이 중요한 것이죠.

 

  특히 집터가 이웃과 면하는 부분이 많다면 이웃 주민과 같이 측량 작업을 참관하는 방향이 좋습니다. 측량 말뚝을 서로 확인하고 협의할 수 있는 부분을 바로바로 협의하여, 서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없앨 수 있을 겁니다.

 

 

포항전원주택시공 측량 사진 13

 

  이 사진이 바로 그런 경우였습니다. 말뚝이 이웃집에 박혔는데, 서로 합의하여 그대로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장면입니다. ^^

 

 

포항전원주택시공 측량 사진 14

 

  측량을 진행한 땅이 공지라면, 타인에 의한 말뚝 및 토지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사진처럼 말뚝들을 이어 경계를 표시해 주기도 합니다.

 

  이런 식으로 저희 [교육건축]은 항상 측량 작업에 세심하게 임하고 있습니다. 이는 누군가의 재산권과 직결된 작업이기 때문에 가능한 정확해야 합니다. 동시에 기존의 경계를 충분히 고려하는 소통이 필요한 작업이고요.

 

  안심하고 내 집을 지을 수 있게 해주는 작업이라고 할까요? ^^ 언제나 측량 작업도 최선을 다하는 [교육건축]이 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