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이야기

고성전원주택시공(전기배선작업)

by tirielgap 2018. 8. 3.

 

 

전기배선 작업 완료했습니다^^ 오늘은 공정 설명과 함께 경량목구조 배선 작업 방법에 대한 설명도 함께 드리도록하겠습니다.

 

고성전원주택시공(전기배선작업 사진 1)

 

전선 배선을 위해 타공작업 시작했습니다. 경량목구조 전기 배선 타공은 사진에서 보시는 바와같이 드릴을 직각으로 하고 정확하게 가운데 지점을 타공해야 합니다. 왜냐면 목조의 하중 부하를 최소화하면서 각 스터드(기둥나무)에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량목구조 전기 배선 경험이 없는 사람에게 일을 맡기면 자칫 하자가 발생할 수 있으니, 예비 건축주님들 반드시 시공시 확인해 두셔야합니다. 

 

고성전원주택시공(전기배선작업 사진 2)

 

타공부위를 보다 가까이 찍은 사진입니다. 타공이 옆으로 쏠리지 않고 중간 지점에서 이루어진 것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고성전원주택시공(전기배선작업 사진 3)

 

오늘은 제가 등장하는군요 ㅎㅎ

전기 팀장님에게 건축주님 요청에 따라  콘센트와 스위치 위치를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물론 일반적인 위치는 서로 합의가 돼 있습니다. 다만 후드의 위치 에어컨이 놓일 자리, tv의 높이 등 건축주께서 요청한 위치는 전기팀장이 모르기 때문에 이를 설명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실 많은 시공사가 건축주와 협의하지 않고 콘센트나 스위치를 임의로 정해 설치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일은 절대 있으면 안되기에 교육건축은 반드시 건축주와 협의 후 시공합니다.

 

고성전원주택시공(전기배선작업 사진 4)

 

냉장고와 후드 위치를 정확히 설명한 후 콘센트와 스위치를 시공한 사진입니다. 

 

고성전원주택시공(전기배선작업 사진 5)

 

콘트롤 박스를 반드시 사진처럼 단단히 고정해야 하며, 각각의 배선 역시 스터드 중간 지점에 타공해야 합니다.

 

고성전원주택시공(전기배선작업 사진 6)

 

배선 작업한 것을 좀더 멀리서 찍은 사진입니다. 전체적으로 깔끔하게 작업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성전원주택시공(전기배선작업 사진 7)

 

분전함과 통신 부스입니다. 정확한 부착과 헷갈리지 않게 배선 작업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고성전원주택시공(전기배선작업 사진 8)

 

스위치와 콘센트 역시 단단하게 고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성전원주택시공(전기배선작업 사진 9)

 

코너 부분의 배선 작업역시 정확한 위치와 높이로 시공된 것도 확인할 수있었습니다.

 

고성전원주택시공(전기배선작업 사진 10)

 

교육건축은 반드시 석고를 덮기 전에 사진처럼 배선이 통화한 자리엔 네일스토퍼를 설치합니다. 네일스토퍼는 말 그대로 준공 이후 건축주께서 벽체에 못을 칠 경우 배선에 손상을 입히지 않기 위한 안전 장치입니다.

 

고성전원주택시공(전기배선작업 사진 11)

 

일렇게 설치한 네일스토퍼는 혹 있을 누전과 건축주의 안전을 보호합니다.

 

 

교육건축은 신뢰의 건축입니다.

 

감사합니다^^

 

 

 

교육건축상담문의 

 

카카오톡 : 99edc103

전화문의 : 010-4927-4258